지난번 포스팅은 YOLO의 기반이 되는 최초의 YOLO를 정리하였다.혹시 YOLOv1을 아직 모른다면, 최소한 한번쯤은 학습을 하고 v2,3,4,5.... 다음 step의 모델들을 보는게 좋다.이유는 YOLOv1이 전체적인 YOLO의 틀이며 next step으로 나온 버전들은 YOLOv1을 기반으로 개선작업을 통해 스피드, 정확도를 높힌 YOLO 모델이기 때문에 Base Model이 되는 YOLOv1은 꼭 살펴보길 바란다.https://sims-solve.tistory.com/118 [Deep Learning] YOLOv1 정리 - YOLO의 시작해당 포스팅은 YOLO의 가장 기초가 되는 V1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YOLO의 관심을 가지고 살펴본 분들은 현재 기준 v10까지 나온걸 알고 있을겁니다.그리..
해당 포스팅은 YOLO의 가장 기초가 되는 V1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YOLO의 관심을 가지고 살펴본 분들은 현재 기준 v10까지 나온걸 알고 있을겁니다.그리고, YOLO가 object detecting, segmentation 등 테스크를 수행 할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을겁니다.여기서는 Detecting을 한번 살펴볼까 합니다. v10까지 나왔지만, v1을 이야기 하는건 YOLO의 기본을 알고 변경되는 사항들을 아는것이 좋다고 생각해서 입니다.해당 포스팅은 해당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zgbPj4lSc58&t=765s YOLO는 실시간으로 사진에서 object(객체)를 인식하여 위치, Class를 분류해주는 모델이다.기존 RCNN..
C/C++ 코딩하다 보니 Static 변수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해당 변수는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 일단, '정적'이라는 말은 '동적'이라는 단어와 반대가 되고, 뜻으로는 한번 정하면 변하지 않는 것.여기서 중요한게 '한번' 이다. 다들 알다시피 C/C++에서 지역변수, 전역변수가 존재하는 것은 알것이다.정적변수는 지역변수 + 전역변수를 합쳐놓은 것이다. 1. 지역변수 처럼 선언된 Block에서 실행됨2. 전역변수 처럼 '한번'만 초기화됨 예를 한번 살펴보자 위 코드를 살펴보면, local함수에 있는 count는 지역변수이기때문에 local 함수를 불러올때마다 1로 초기화 된다. 반면에 staticVar의 count는 static 변수이기때문에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전역변수처럼 한번만 초기..
AI 개발을 하면서, 서비스 측면에서 속도 향상을 위하여 C/C++로 코드를 바꿔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C/C++ 개발 환경부터 정리하고자 한다. 예전부터 Visual Studio를 이용하여 C/C++ 코딩을 많이 한다고 한다. 하지만 한가지 중요한 제약사항이 존재한다.Visual Studio는 Window환경에서 코딩을 할때 주로 지원을 한다.위 사진에서 보듯 Studio는 윈도우 표시만 되어있는것을 확인하였다. 문제는 AI를 개발할 컴퓨터는 리눅스 환경이고 해당 컴퓨터에 GPU가 달려있어 굳이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못느꼈다. 대안으로, vscode를 사용하여 어느 환경에서도 C/C++를 코딩할 수 있도록 환경설정 하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현재 포스팅은 Window환경에..
- Total
- Today
- Yesterday
- yolov11
- V11
- CNN
- 어탠션
- 깃
- docker
- 정리
- 티스토리챌린지
- github
- YOLOv8
- 이미지
- Tree
- 뜯어보기
- 욜로
- c3k2
- GIT
- YOLO
- 도커
- DeepLearning
- 오블완
- 백준
- java
- python
- 딥러닝
- 초보자
- GNN
- 자바
- 알고리즘
- 디텍션
- 오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